개요 및 배경
- CWMP(CPE WAN Management Protocol)
- CPE를 관리하기 위한 Application Layer Protocol
- 양방향 SOAP/HTTP를 기반으로 CPE(customer premises equipment)와 ACS(auto configuration server)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.
- 자동 설정 기능을 제공하여 통합 환경 내에서 다른 CPE 관리 함수를 제어하고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.
- 브로드밴드 시장의 다양한 인터넷 접속(모뎀, 라우터, 게이트웨이, STB, VoIP)에서 동시에 이런 장비들에대해 자동 설정 할 수 있도록 한다.
- 구체적인 기술적인 사항은 Broadband 포럼에서 관리하고 발행한다.
- CPE 장비들은 ACS에 접속하고 필요한 설정들을 자동으로 받아오며, 사용자가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필요한 서비스를 사용하는것을 가능하게 한다.
기능
- 자동 설정 및 Provisioning
- 펌웨어 이미지 관리
- 상태 및 성능 모니터링
- 자가진단
보안 목표
- CPE와 ACS간 발생하는 트랜잭션(CPE와 ACS간 메시지 교환) 또는 관리 기능에 대한 변조 방지
- CPE와 ACS간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기밀성 제공
- 각 트랜잭션에 적절한 권한 허용
- 서비스 도난 방지
프로토콜 스택
CPE/ACS Management Application |
RPC Methods |
SOAP |
HTTP |
SSL/TLS |
TCP/IP |
SNMP와 TR-069의 차이점
- SNMP는 UDP를 사용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반면 TR은 TCP를 사용해 신뢰성이 높다.
- SNMP는 MIB이라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관리하지만 TR-069는 ACS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TR 모델로 데이터를 관리한다.
- SNMP는 get/set, trap command를 지원하지만 TR-069는 보다 다양한 command(get/set, trap, create objeect, delete object, file download, file upload, reboot, diagnositcs 등)를 지원한다
- SNMP의 신뢰성 문제, SNMPv1과 SNMPv2의 보안성 문제, 표준 MIB의 부재, CPE 통합관리 체계의 부재와 같은 이유로 SNMP 보다 TR-069를 사용하는 추세이다.
표준 Data Model
- TR-106 : Data Model Template for TR-069 Enabled Devices
- TR-098 : Internet Gateway Device Data Model for TR-069
- TR-104 : Provisioning Parameters for VoIP CPE
- TR-181 : Device:2 Data Model of TR-069
Provisioning Session
CPE와 ACS간의 메시지 교환을 Provisioning Session이라 부른다.
Transaction Session
Transaction Session - HoldRequest 사용
참고 : TR-069 Amendment 2 - broadband forum technical report
TR-069 wikipedia