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v4가 32비트를 이용하였던것과 달리 IPv6는 128비트를 이용하며, 16비트씩 총 8그룹으로 구성된다.
IPv6는 대부분의 자리가 0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축약해서 사용한다. 0000을 0으로 축약하거나 연속되는 0의 그룹을 없애고 ':'만 남겨놓을 수 있다.
1010 : 0222 : 0000 : 0000 : 0000 : 0000 : 0333 : 4444
1010 : 0222 : 0000 : 0000 : 0000 : : 0333 : 4444
1010 : 0222 : 0 : 0 : 0 : 0 : 0333 : 4444
1010 : 0222 : 0 : 0 : 0 : : 0333 : 4444
1010 : 0222 : : 0333 : 4444
각 그룹별로 맨앞자리의 0은 아래와같이 생략 가능하다.
1010 : 0222 : 0000 : 0000 : 0000 : 0000 : 0333 : 4444
1010 : 222 : : 333 : 4444
다만, 0으로 축약하거나 ':'으로 없애는것은 두번 이상 사용할 수 없다.
예를들어 "1010::0222::0333:4444" 주소는 아래와 주소중에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알수 없게된다.
1010 : 0000 : 0000 : 0000 : 0222 : 0000 : 0333 : 4444
1010 : 0000 : 0000 : 0222 : 0000 : 0000 : 0333 : 4444
1010 : 0000 : 0222 : 0000 : 0000 : 0000 : 0333 : 4444
wireshark filtering rule (ipv6, ipv6.version == 6)
Netfilter(iptables, ebtables) (0) | 2021.08.12 |
---|